제품갤러리 목록

제품갤러리

출장용접 “장애인 ‘홀로서기’ 가능하도록” 서울시, ‘2530장애인 종합대책’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황준영 작성일25-09-19 01:54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출장용접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서울형 장애인 암 조기검진’을 지원한다. 비장애인에 비해 노화가 빨리 시작되는 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조치다.
2030년까지 발달·뇌병변 장애 등 중증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전문 직업학교’도 새롭게 설치된다.
최대 20년간 거주할 수 있는 장애인 지원주택도 늘린다. 소수의 장애인이 같은 공간에서 함께 거주하며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동생활가정’도 250곳까지 늘어난다.
조기노화가 시작되는 30~40대 발달장애인을 위한 ‘40+주간이용시설’도 자치구별로 30곳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장애인 거주시설 내 중대 인권침해 적발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실행, 즉시 시설폐지 처분을 내린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530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보호자의 고령화 또는 사망으로 돌봄이 어려워진 성인 발달장애인이 사회의 도움을 통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사회기반 시설 및 지원을 두텁게 마련한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골자다. 총 4대 분야 12개 핵심과제를 담았다. 2030년까지 투입되는 예산은 2조원이다.
현재 서울시에 등록된 장애인은 선천·후천 장애인을 모두 포함해 38만5000명에 달한다. 장애인의 85%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74%는 가족돌봄에 의존하고 있다.
서울시는 장애인들이 직업활동을 할 수 있는 공공일자리를 현재 연간 5000개 수준에서 2027년 7000개, 2030년 1만2000개까지 단계적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공공일자리 경력을 통해 민간일자리 취업까지 연계할 수 있는 제도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장애인 전문 직업학교는 과학기술 발달에 맞춰 장애인들에게 ICT(정보통신기술) 등을 중점적으로 지도할 계획이다. 현재 운영 중인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30곳 역시 임가공 중심에서 코딩, 소프트웨어 작업 등 4차 산업 업종으로 분야를 전환할 예정이다.
서울형 개인예산제 지원대상도 2030년까지 누적 2600명까지 늘린다. 서울형 개인예산제는 대상자가 자기개발, 취·창업, 주거환경 개선 등 필요분야를 골라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이다. 지원액도 현 40만원에서 50만원으로 늘린다.
장애인들이 독립된 공간에서 거주하면서 돌봄 등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애인 지원주택도 현재 336곳에서 500곳까지 확대한다. 시설에 거주하거나 부모로부터 독립을 원하는 장애인들이 6개월간 혼자 사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자립체험주택’도 30곳 신규 설치·운영한다.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가정을 방문해 신체·가사활동, 이동보조 등을 지원하는 활동지원서비스 대상도 3만명까지 늘린다. 특히 최중증 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65세 이상 고령가족에게도 월 30만원을 신규 지급해 돌봄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암 조기검진은 위암은 만 30~39세, 대장암은 만 40~49세에 검진받을 수 있으며, 장애인주간시설과 자치구 보건소, 지역의료기관을 연계한 ‘고령장애인 건강지원 프로그램’도 신규 운영한다.
자치구별 장애아동 동행 분트 병·의원도 지정한다. 기준중위소득 180%이하 가정 내 만 9세 미만 장애아동에게는 2027년부터 연간 100만원의 의료비도 지원한다.
장애인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마을버스는 2030년, 시내버스는 2032년까지 100% 도입한다. 휠체어 장애인이 휠체어를 접지 않고도 그대로 탑승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UD) 택시도 올해 첫 시범도입해 2030년까지 1000대로 늘린다. 복지콜 운행규모도 현 161대에서 200대까지 늘린다.
장애인들의 문화·체육·예술 등 여가활동 보장도 확대한다. ‘어디서나 장애인 생활체육교실’을 현 200곳에서 300개로 늘린다. 또 17개 모든 시립공연장에서 음성해설, 자막 등을 제공하는 베리어프리 공연을 정례화 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땀 흘려 일하고 당당하게 자립할 수 있는 일자리,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집과 자유로운 이동, 사회참여 등 누군가에게는 당연한 일이 장애인들에겐 도전의 연속이 되지 않도록 장벽을 허물고 문턱을 없애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장애인은 복지의 수혜자가 아니라, 우리사회를 함께 만들어 가는 주체로 인식하는 것이 약자동행 철학의 근간이라며 장애인의 보통의 하루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평범한 일상이 되는, 함께 행복한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그룹이 향후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SK·현대자동차·LG·포스코·한화 등 주요 그룹들도 잇따라 채용 규모를 확대키로 했다. 청년 신규 채용을 늘려야 한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당부에 응답한 모습이다.
삼성은 이날 5년간 6만명(연간 1만2000명)을 신규 채용해 미래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알렸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주요 부품사업,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산업, 핵심 기술로 급부상한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채용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밝힌 채용 규모는 기존보다 20% 늘어난 수준이다.
삼성은 ‘인재 제일’이란 경영철학으로 1957년 국내에서 처음 도입한 신입사원 공개채용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4대 그룹 중 정기 공채 제도를 운영하는 곳은 삼성이 유일하다.
SK그룹은 올해 8000명을 새로 뽑는다. 상반기 4000여명을 선발했고 하반기 4000여명을 추가로 고용한다. SK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AI, 반도체, 디지털전환(DT) 분야의 국내외 이공계 인재들이 주 대상이다. AI 열풍에 힘입어 사상 최고 실적을 내고 있는 SK하이닉스가 오는 22일부터 세 자릿수 규모로 하반기 신입사원 모집에 나선다.
현대차그룹도 올해 7200명을 신규 채용키로 했다. 특히 내년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대상은 전동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집중된다.
LG그룹은 3년간 1만명을 뽑을 계획이다. 이 중 신입사원은 7000명 수준이다. AI, 바이오, 클린테크 등 미래 사업과 배터리·전장, 냉난방공조 등 기업 간 거래(B2B) 사업, 연구·개발(R&D) 분야에서 우수 인재를 확보한다.
포스코그룹도 연간 신규 채용 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400명 많은 30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내년 이후에도 안전, AI, R&D 분야 채용 확대를 통해 전체 신규 채용 규모를 올해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한화그룹은 30개 계열사의 하반기 채용 인원을 3500여명으로 확대한다. 상반기 채용 인원인 2100여명보다 1400여명 늘어난 규모다. 올해 총 5600명을 뽑게 된다. 한화는 하반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100명을 포함해 방산 분야에서만 2500명, 금융 분야에서 700여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HD현대도 올해 조선·건설기계·에너지 분야에서 총 1500여명을 신규 채용한다. 이후 2029년까지 총 19개 계열사에서 1만여명을 추가로 뽑을 예정이다. 친환경 기술, 디지털 스마트 솔루션, 수소·바이오 사업 추진을 위한 R&D 인력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대기업들의 신규 채용 확대 계획은 이 대통령의 청년 고용 주문 후 이틀 만에 나왔다.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기업 측에 부탁을 해서 청년 신입 채용을 좀 해볼 생각인데 선의로만 안 되니 특히 지방은 지원·혜택이 가능하게 (해야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우원오토  |  대표 : 김정섭  |  사업자등록번호 : 302-81-21652  |  주소 : 충북 옥천군 이원면 묘목로 202
Tel. : 043-732-1201  |  Fax : 043-732-1202  |  H.p : 010-3879-1472

Copyright © (주)우원오토. All Rights Reserved.  ADMIN